|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center><font size=6>해인사판 고려대장경 화엄경 팔십변상도의 디지털시각화 및 전자불전
| |
− | 편찬을 위한 데이터 모델 개발 연구 – 80권 화엄경 입법계품을 중심으로-</font></center>
| |
− | <center>[http://avatamsakasutra.com/wiki/index.php/대문 화엄경 입법계품 디지털 아카이브]</center>
| |
| | | |
− |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align="right"
| |
− | |-
| |
− | |style="text-align:right"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석사과정<br/>김수현
| |
− | |}
| |
− |
| |
− | 1. 연구 배경과 목적
| |
− | 1. 연구 배경과 목적
| |
− |
| |
− | 본 연구는 '화엄경<ref>화엄경은 대방광하신 부처님의 세계를 보살의 갖가지 만행화로써 장엄함을 설하고 있는 경이다.
| |
− | 청량징관(738~839)의 <화엄현담>에서는 대방광불화엄경 7자에 각각 10가지씩 의미를 붙어 총 70가지로
| |
− | <화엄경>의 제목을 설명한다. <화엄경>은 ‘대방광불화엄(大方廣佛華嚴)’을 설하는 경이니, 경을 능전(能
| |
− | 詮)이라 하고 대방광불화엄을 경에 담긴 내용, 즉 소전(所詮)이라 한다. (중략) 조선시대 묵암최눌의 <화
| |
− | 엄품목>에는 <화엄경>의 대의를 ‘만법을 통섭해서 일심을 밝힌다[統萬法明一心]라고 하였다. (중략) 법장
| |
− | 은 <탐현기>에서 ’인과연기 이실법계(因果緣起 理實法界)를 화엄의 종지로 세우고 있다. 해주. "화엄의
| |
− | 세계" 민족사. 1998.02.25. 17p
| |
− | <br/>분량으로는 實叉難陀역본의 경우 39품 80권, 총 글자 수 587,261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입법계품(
| |
− | Gaṇḍavyūha.入法界品)이 200,758자를 차지한다.
| |
− | 은 삼장의 불전재현 모델 석길암은 원고에서 '불전의 재현'이라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내렸는데, 좁게는 부처님의 전개를 승전의 기술에 차용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넓게는 인도불교의 전승을 동아시아 불교에 재적용 혹은 차용하여 기술하거나, 인도 불교적 사유체계 곧 경론에 나타난 전승을 동아시아 세계에 재적용하는 경우까지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했다. 석길암, “불교의 동아시아적 전개양상으로서의 불전재현(佛傳再現) - 『三國遺事』「元曉不羈」조를 중심으로”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0. 170p 요약
| |
− | <br/>이에 대해 서정원은 ‘석길암은 동아시아의 전기문학은 인물의 전기를 석존의 전기에서 빌려온 구조를 바탕으로 서술되는 경우가 있음을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원효전(元曉傳)」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석길암이 주장한 불전재현의 개념을 동아시아 전기문학의 형식뿐만 아니라, 불교경전 일반에 통하는 제작의 형식이라 확장할 여지가 있다. 위의 「법화경」을 비롯한 경전들은 석존의 삶을 재현한다는, 즉 불전재현의 형식 속에 자신들의 주장을 위치시켜 새로운 경전을 창출하였기 때문이다.’라고 평가했다.
| |
− | 서정원. (2018). 불교경전의 제작과 위경. 종교연구, 78(2), 206
| |
− | <br/>서정원은 불전재현에 관해, 이는 전기 및 전생담을 바탕으로 한 석존 생애의 궤범을 바탕으로, 경전 편찬자들마다 석존의 삶 속에서 가장 중요한 특정 순간을 각기 분별·선택한 후 그 순간에 특정 경전이 설시되었음을 강조하는 편찬방식을 지닌 것이라고 설명했다. 불전재현 형식을 띄는 경전으로 석존이 깨달은 순간을 표현한 화엄경과 입멸 순간을 다룬 열반경을 그 사례로 들었다.
| |
− | <br/>한편 서정원은 경전제작의 정형에 대해 새로운 가설을 제시했는데, 특히 'Ⅱ-3.경전제작 형식으로서 불전재현'에서 그는 불설(佛說)은 석존의 직설(直說) 이외의 가르침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점, 경전은 구전에서 서사화되면서 그 확장성이 뚜렷해진 점, 경전의 창출은 편찬자의 스스로 발설한 주장이 아닌 석존의 생애 궤범에 의거하여 불전재현의 형식에 귀속된 양상을 갖고 있다는 점을 주장했다.
| |
− | 아울러 불전 재현, 즉 석존 생애를 복기하는 형식을 일정하게 가지고 경전이 창출되었으므로, 이러한 전제, 구조, 형식의 양상을 경전제작의 정형(定形)으로 보아야 한다고 논했다.
| |
− | 서정원. "불교경전의 제작과 위경." 종교연구 78.2 (2018): 206~207 요약</ref>
| |
− |
| |
− | 을 갖춘 불전문학 작품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초기불전의 삼장의 경장, 율장, 논장 중 경장의 자타카, 붓다왕사(불종성경)<ref>밍군 사야도 저. 김봉수 역. "大佛傳經Ⅰ~Ⅹ" 한언.2009.10.20</ref>
| |
− | 를 읽고 실차난타(實叉難陀)역본의 80권본 대방광불화엄경 중 60권에서 80권 분량의 입법계품과의 불전 전개 요소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 |
− | 한편 한국 불교학술원에서 제공하는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에 수록된 화엄부 해당 경전과 일본의 다이쇼대장경 화엄부 해당 경전의 목록을 뽑아 대략적인 경전의 내용을 검토하고 부처의 탄생과 정각, 입멸에 이르기까지의 수많은 시공간적 요소 중 어떤 요소를 중심요소로 뽑아 불전을 전개해나갔는지 키워드 추출하였는데 그 결과 ‘무상정등각을 얻었던 순간’이라는 깨달음의 사건이 주로 화엄부 불전 전개의 중심요소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
− | 화엄경의 경우 불전 문학과 불설 재구성의 흐름에 있어 ‘깨달음을 얻는 순간’이라는 사건을 기저로 전개되었다고 사료되는데, 이 ‘깨달음의 증득’ 사건이 화엄경에서 실제적인 문학 전개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는지 판별하고자 의미 기반 데이터베이스(Semantic Database)를 기반으로, 실차난타(實叉難陀)역 화엄경 입법계품의 핵심적인 문학 전개 요소들을 노드(node)화하여 화엄경 입법계품 온톨로지를 제작하였다.
| |
− | 아울러 ‘깨달음의 증득’이라는 불전재현 모델을 고려한 화엄경 입법계품 전자불전 편찬을 시도했으며, 입법계품 등장인물 사전과 입법계품 불교 용어사전 두 종류로 나누어 개발했다.
| |
− | 선행 모델로 대만의 불학규범자료고 <ref>佛學規範資料庫 https://authority.dila.edu.tw </ref>
| |
− | 와 가산불교대사림 [伽山佛敎大辭林]<ref>한국의 가산불교문화연구원이 편찬한 불교종합대백과사전</ref>
| |
− | ,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Charles Muller 외 50인의 세계 각국의 불교학자가 편찬한 불교사전
| |
− | <ref>[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Charles Muller http://www.buddhism-dict.net/ddb/] </ref>
| |
− | 을 참고하였으며, 위키백과 편찬형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ref>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 |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문 </ref>를 참고하였다.
| |
− |
| |
− | ==참고문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