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보살(普賢菩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vatamsakasutra
(→Note)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Note== | ==Note== | ||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보현보살]]의 중중무진한 세계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고 끝내 [[보현보살]]의 행원을 얻도록 조력했다. |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보현보살]]의 중중무진한 세계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고 끝내 [[보현보살]]의 행원을 얻도록 조력했다. | ||
+ | 화엄경 입법계품에서는 금강장 보리도량(金剛藏菩提場), 서다림 급고독원(給孤獨園)에 머무른 것으로 묘사되나, 보현보살은 항상 동방의 보위덕상왕부처님의 처소에 머무르고 있다고 『신화엄경론』에서 밝히고 있다. </br> | ||
+ | 『신화엄경론』 권4(대정장36, p.745a28)에 "보현보살이 항상 동방의 보위덕상왕부처님의 처소에 머무는 것은 만행(萬行)을 실천하는 것을 보배로 삼고 이 행으로 말미암아 그 위덕이 완성된다는 뜻을 밝히기 때문이다. 행을 갖추면 법보로 된 몸이 자재하고, 위엄있는 덕을 갖추고 두려움이 없이 자재한 왕이 된다. 행을 갖추지 못하면 두려움의 대상이 남아 있어서, 설령 높은 자리에 머문다고 해도 왕이 될 수는 없으니, 두려움의 대상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문수사리와 함께 모두 동방에 머무는 것은 법신과 지신, 이와 사, 체와 용이 본래 하나이기 때문이고 본래 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普賢菩薩 常居東方 寶威德上王佛所者 明萬行爲寶以此行故成其威德若具行者以法寶身自在也威德無畏自在為王若不具行者皆有所畏設居高位不得為王為有所畏故與文殊師利同在東方者為法身智身理事體用本自一故 本無二故”라고 하였다.<ref>가산지관(伽山智冠).가산불교대사림(伽山佛敎大辭林).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0권, 276</ref> | ||
==Same as== | ==Same as== |
2021년 8월 3일 (화) 08:40 판
인물 프로필 | |
---|---|
유형 | 인물 |
국문 이름 | 보현보살 |
범어 이름 | samantabhadra |
한문 이름 | 普賢菩薩 |
별칭 | |
출현 경전 | 大方廣佛華嚴經卷第八十 |
인물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제자 | 선재동자(善財童子) |
설법 법문 | |
용모 |
Note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보현보살의 중중무진한 세계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고 끝내 보현보살의 행원을 얻도록 조력했다.
화엄경 입법계품에서는 금강장 보리도량(金剛藏菩提場), 서다림 급고독원(給孤獨園)에 머무른 것으로 묘사되나, 보현보살은 항상 동방의 보위덕상왕부처님의 처소에 머무르고 있다고 『신화엄경론』에서 밝히고 있다.
『신화엄경론』 권4(대정장36, p.745a28)에 "보현보살이 항상 동방의 보위덕상왕부처님의 처소에 머무는 것은 만행(萬行)을 실천하는 것을 보배로 삼고 이 행으로 말미암아 그 위덕이 완성된다는 뜻을 밝히기 때문이다. 행을 갖추면 법보로 된 몸이 자재하고, 위엄있는 덕을 갖추고 두려움이 없이 자재한 왕이 된다. 행을 갖추지 못하면 두려움의 대상이 남아 있어서, 설령 높은 자리에 머문다고 해도 왕이 될 수는 없으니, 두려움의 대상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문수사리와 함께 모두 동방에 머무는 것은 법신과 지신, 이와 사, 체와 용이 본래 하나이기 때문이고 본래 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普賢菩薩 常居東方 寶威德上王佛所者 明萬行爲寶以此行故成其威德若具行者以法寶身自在也威德無畏自在為王若不具行者皆有所畏設居高位不得為王為有所畏故與文殊師利同在東方者為法身智身理事體用本自一故 本無二故”라고 하였다.[1]
Same as
불전에서 묘사되는 용모
콘텐츠
- BTN불기2556년 부처님오신날 특집 보현행원송
- 제20차 한,중,일 불교 우호 교류회의 한국대회 기념공연 교성곡 보현행원송
문헌 출처
- ↑ 가산지관(伽山智冠).가산불교대사림(伽山佛敎大辭林).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0권,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