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 전자불전 편찬을 위한 데이터 모델 개발 연구
avatamsakasutra
Haruhuji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2일 (월) 00:22 판 (→사전특정한맥락에서 사전이용자가 최적의 언어적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의 하나. Hoffenberg, T. 2014유형)
Haruhuji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2일 (월) 00:22 판 (→사전특정한맥락에서 사전이용자가 최적의 언어적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의 하나. Hoffenberg, T. 2014유형)
불교사전 편찬 기준과 연구방법 소개
‘깨달음의 증득’이라는 불전재현 모델을 고려한 화엄경 입법계품 전자불전 편찬을 시도했으며, 입법계품 등장인물 사전과 입법계품 불교 용어사전 두 종류로 나누어 개발했다. 여기서 두 사전은 사전(事典)[1]의 의미를 가진다. 선행 모델로 대만의 불학규범자료고[2]와 가산불교대사림 [伽山佛敎大辭林][3],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Charles Muller 외 50인의 세계 각국의 불교학자가 편찬한 불교사전[4]을 참고하였으며, 위키백과 편찬형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5]를 참고하였다.
사전[6]유형
- 규모: 소
- 형태: 웹 서비스[7]
- 목적: 학습용, 참조용
- 언어: 다언어
- 정보 근거: 자료 중심
- 텍스트 구조: 주제분류
- 정보 범위: 백과 정보, 포괄적 정보
- 규범성: 기술 중심
- 주제: 종교(불교)
- 이용자: 전문가
- 참고모델: 佛學規範資料庫, 가산불교대사림,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Charles Muller,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한국의 불교 사전 편찬 역사
불교 사전 선행 연구 모델
- (모델): 가산불교대사전, 대만불학규범자료고
참고문헌
- ↑ 어떤 범위에서 사용되는사물(事物)·사항(事項)을 나타내는말을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싣고, 그것에 대하여 전반적인 해설을 붙인 책
- ↑ 佛學規範資料庫 https://authority.dila.edu.tw
- ↑ 한국의 가산불교문화연구원이 편찬한 불교종합대백과사전 http://ffr.krm.or.kr/base/intro_db.html?TD=075
- ↑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Charles Muller http://www.buddhism-dict.net/ddb/
-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문
- ↑ 특정한맥락에서 사전이용자가 최적의 언어적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의 하나. Hoffenberg, T. 2014
- ↑ 디지털 사전 구조화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호 정보에 국한될 필요 없이 다양성에 개방적으로 대응한다. 둘째, 표제어, 정보단위가 모두 독립적인 id를 가짊으로서 데이터의 순결성을 지킨다. 셋째, 독립된 정보 단위간의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긴밀성을 구축한다. 넷째, 웹 서비스형 전자사전은 독자 연계 서비스, 입출력, 검색 등 속도개선을 통한 신속성을 제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