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화엄경 전자불전 편찬을 위한 데이터 모델 개발 연구

avatamsakasutra

불교사전 편찬 기준과 연구방법 소개

‘깨달음의 증득’이라는 불전재현 모델을 고려한 화엄경 입법계품 전자불전 편찬을 시도했으며, 입법계품 등장인물 사전과 입법계품 불교 용어사전 두 종류로 나누어 개발했다. 여기서 두 사전은 사전(事典)[1]의 의미를 가진다. 선행 모델로 대만의 불학규범자료고[2]와 가산불교대사림 [伽山佛敎大辭林][3],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Charles Muller 외 50인의 세계 각국의 불교학자가 편찬한 불교사전[4]을 참고하였으며, 위키백과 편찬형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5]를 참고하였다.

화엄경 전자불전의 사전[6]유형


한국의 불교 사전 편찬 역사

1961년 동국역경원에서 운허 용하스님(1892~1980)의‘불교사전’이 출간되었다. 그 후로 가산 지관스님(1932~ 2012)이 대표연구자로 가산불교문화연구원에서 '가산불교대사림[8]' 편찬이 1982년부터 진행되었다. 전 22권으로 출간 예정이며, 가산불교대사림으로 출간된 책의 데이터와 검색시스템은 웹 서비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9] 현재 네이버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는 불교사전은 '원불교 대사전[10]'과‘시공 불교사전[11]’이 있다. 한편,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에서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를 개발하는 연구진들은 『21세기 한국불교대장경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100권 출간의 의의와 전망』이라는 학술대회에서 향후 한국의 불교 데이터베이스 개발은 C-BETA방식의 편찬과 한국 불교전서의 저본 확보(아카이브에 이미지 제공)에 주력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이쇼대장경(SAT)와 씨베타는 불교 용어의 정의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불교 사전 기능을 확보하고 있지만, 한국의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는 불교 사전 기능을 현재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추후 개발과제로 보인다.

한국에서 간행·번역된 불교사전 목록

  • 1. 불교대전
  • 2. 불교대사전
  • 3. 티베트어 한글사전
  • 4. 불교사전
  • 5. 시공 불교사전
  • 6. 불교사전
  • 7. 불교사전
  • 8. 위키 불교사전
  • 9. 한글대장경 불교사전
  • 10. 현대 한영 불교용어사전(Modern Korean
  • 11. 한영불교사전[12]
  • 12. 불전해설사전
  • 13. 한국불교총람[13]
  • 14. 불교용어[14]
  • 15. 유마경사전
  • 16. 불명사전
  • 17. 한영불교대사전 A Korean
  • 18. 실용 한 영 불교용어사전
  • 19. 불교대사전[15]
  • 20. 불교인도사상사전[16]
  • 21. 불교용어사전
  • 22. 범어대사전 Sanskrit Korean Dictionary
  • 23. 밀교사전
  • 24. 佛敎思想大辭典. 臺灣商務印書館
  • 25. 佛敎的槪念與方法 , 臺北 : 臺灣商務印書館, 中華77
  • 26 佛敎思想辭典
  • 27.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전16책)
  • 28.불교영험설화 대사전 -한정섭 불교정신문화원
  • 29.한국불교문화사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30.불교가사 독해사전 -임기중
  • 31.한국불교사찰사전 -이정
  • 32.동양서적 –불교생활용어사전 -한미교육연구원
  • 33.법명해설사전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 34.한국 불교 장인 인명사전 -최선일, 안귀숙
  • 35.천태역대조사전 -원각불교사상연구원
  • 36. 돈황학대사전 -돈황학대사진편집위원회 ,지센린 (주편)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 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 옮김

해외의 불교 사전 편찬 연구 사례

원본 복구보다, 형태와 문맥에서 파악한 불교사전 프로젝트

(HRA 연구사례)불교사전 연구 프로젝트(Buddhist Dictionaries, Project RE9)는 하이델베르크 대학 내 컴퓨터 기반 연구센터(The Heidelberg Research Architecture, HRA)의 22개 프로젝트 중 하나이고, 중국학 Rudolf G. Wagner 교수가 팀장을 맡고 있다.
7세기에 중국에서 편찬된 불교사전인 女應의 『宗經音義』,惠琳의 一切經音義』,釋希麟의 『一切經音義』은 중국 차용 언어의 발사를 밝히는 데 상당히 중요한 자료이나 그간 등한시되어온 점에 착안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불교학자들은 한문 또는 티베트어로 된 불교단어를을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의 불교 전문 용어들과 대응하여 읽고 있는데, Rudolf G. Wagner 교수는 이러한 텍스트 이해 방법이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로 불교를 연구하는 학자들, 그리고 한문, 티베트어로 된 저작물의 인어 형태, 문맥 등에 관심이 적고 '원본'의 복구에 관심 있는 학자들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을 지적한다.[17]

괴팅엔 대학에서 편찬한 투루판 출토 불교 서적의 산스크리트어 사전

투루판 출토 불교 서적의 산스크리트어 사전(Sanskrit-Wörterbuch der buddhistischen Texte den Turfan-Funden, 이하SWTF)'은 초기불교 서적의 사전적 설명을 목표로 하는 산스크리트어 독일어 사전이다.
이 사전은 몇몇 예외를 제외한 분석된 텍스트의 어휘나 인용문을 완전히 이해하고 [사전으로] 세밀하게 인용하는 것을 통해 특수한 용어 색인의 특징뿐만 아니라 설일체유부 경전 텍스트의 불교 산스크리트어 일반 어법까지 지켜내고 있다고 한다.[18]

The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and CJKV-English Dictionary: A Brief History

불교 사전 선행 연구 모델

佛學規範資料庫

불학규범자료고

가산불교대사림

가산불교대사림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조선왕조실록 위키

참고문헌

  1. 어떤 범위에서 사용되는사물(事物)·사항(事項)을 나타내는말을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싣고, 그것에 대하여 전반적인 해설을 붙인 책
  2. 佛學規範資料庫 https://authority.dila.edu.tw
  3. 한국의 가산불교문화연구원이 편찬한 불교종합대백과사전 http://ffr.krm.or.kr/base/intro_db.html?TD=075
  4.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Charles Muller http://www.buddhism-dict.net/ddb/
  5.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문
  6. 특정한맥락에서 사전이용자가 최적의 언어적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의 하나. Hoffenberg, T. 2014
  7. 디지털 사전 구조화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호 정보에 국한될 필요 없이 다양성에 개방적으로 대응한다. 둘째, 표제어, 정보단위가 모두 독립적인 id를 가짊으로서 데이터의 순결성을 지킨다. 셋째, 독립된 정보 단위간의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긴밀성을 구축한다. 넷째, 웹 서비스형 전자사전은 독자 연계 서비스, 입출력, 검색 등 속도개선을 통한 신속성을 제공해야 한다.
  8. 가산불교대사림(가산(伽山)이지관(李智冠, 1932∼2012)이 이끄는 가산불교문화연구원이 15만여 불교 술어를 집대성하여 간행한 불교종합대백과사전이다. ‘일반불교 및 한국불교 술어의 최초 결집’으로 평가받고 있는『가산불교대사림』은 기존의 불교사전보다 한국불교항목을 30% 가량을 더 할애한 대항목 사전이다. 한국불교 관련 항목의 발굴과 인도불교에서 유럽불교학에 이르기까지 불교술어를 서술하고 있어 이 백과사전의 독자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가산불교대사림 [伽山佛敎大辭林]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9. 가산불교대사림
  10. 원불교 대사전
  11. 시공 불교사전
  12. 불교철학, 불교사상, 불교문화, 불교인명 등에 관련된 표제어 약 1만 여개를 담아 수록했다. <중국불교용어집>을 한글 표제어 순으로 바꾸고 동시에 한국불교에 관한 새로운 표제어 300여개를 작성
  13. 불교 종단을 비롯하여 불교 법인, 신행과 포교를 위한 불교 단쳬. 기관, 산간의 대소 사암과 도심의 포교당, 인명 자료, 한국불교사연표, 불교관련 도서.논문 등 산재한 자료들을 한데 모아 정리했다.
  14. 7만여개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한자와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티베트어 등 불교원전 용어와 영어, 일어, 중국어 단어를 총정리하여 사전간행 계획
  15. 65,000개의 표제어
  16. 18,530여 개의 표제어
  17.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세계의 불교학 연구"씨아이알.2016.05.04, 258p
  18.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세계의 불교학 연구"씨아이알.2016.05.04, 26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