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 전자불전 편찬을 위한 데이터 모델 개발 연구
avatamsakasutra
불교사전 편찬 기준과 연구방법 소개
‘깨달음의 증득’이라는 불전재현 모델을 고려한 화엄경 입법계품 전자불전 편찬을 시도했으며, 입법계품 등장인물 사전과 입법계품 불교 용어사전 두 종류로 나누어 개발했다. 선행 모델로 대만의 불학규범자료고[1]와 가산불교대사림 [伽山佛敎大辭林][2],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Charles Muller 외 50인의 세계 각국의 불교학자가 편찬한 불교사전[3]을 참고하였으며, 위키백과 편찬형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4]를 참고하였다.
한국의 불교 사전 편찬 역사
불교 사전 선행 연구 모델
- (모델): 가산불교대사전, 대만불학규범자료고
=참고문헌
- ↑ 佛學規範資料庫 https://authority.dila.edu.tw
- ↑ 한국의 가산불교문화연구원이 편찬한 불교종합대백과사전 http://ffr.krm.or.kr/base/intro_db.html?TD=075
- ↑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Charles Muller http://www.buddhism-dict.net/ddb/
-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문